자동차 업종 그리고 현대공업 – 주도주 리뷰

금일 주도 업종은 자동차 업종이었습니다. 현대차, 기아차를 중심으로 관련 부품주들의 강세 흐름까지 이어졌습니다. 지난 연휴 기간 트럼프 대통령의 코로나19 확진 소식으로 불안한 시장 출발 예상은 보기 좋게 빗나가고 말았습니다. 그래도 결과적으로 긍정적 시장 흐름이기에 빗나간게 되려 다행인 상황이 되었으니.. 좋은게 좋은거라고.. 당분간 자동차 업종을 주목해야 …

Read more…

하나머티리얼즈 SiC(실리콘카바이드)링 진출

오래전부터 시장에 지속 소개되었던 내용입니다. 주가에 큰 영향을 당장은 미치지 않지만, 메모리 업종의 주도 섹터 등극에 따른 주목을 받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생각합니다. 지난달 27일 도쿄일렉트론(TEL)로부터 SiC 양산승인 획득으로 본격 양산에 들어갈것으로 보여집니다. 아직은 초기 단계이기 때문에 향후 공급처를 다양화하며 시장 진출 성공 여부와 실적 …

Read more…

금일 간략 시황

연후 이후 시장은 일반적으로 갭상승 이후 약세 흐름으로 전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점을 감안하여 시가 매매를 하기 보다는 당일 주도주의 오전 흐름을 확인하시고 오후장을 준비하며 지지 가격대에서 물량을 모으는 전략이 유효할 것입니다. 기보유 종목군들의 경우 금일 일시적으로 코로나19 관련주들이 주목 받는 흐름이 예상되는데 역시나 장중 급등 …

Read more…

미수, 신용 사용시 실패하는 이유는?

오랜 시간 시장에 머물며 거래를 하며 많은 우여곡절이 있었습니다. 방심하는 사이에 큰 손실을 입는 경우도 있고 재기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여 모든 걸 재시작 해야 하는 경우도 수회에 걸쳐 있었고요. 그런데 그때를 생각해보면 분명 그 원인이 여러가지가 있었습니다. 다소 부끄러운 이야기이지만 경험담이기에 기록으로 남겨 보려 합니다. …

Read more…

시간대별 매매 전략을 수립하자.

자신의 성향과 환경을 고려한 시간대별 매매 전략을 수립해야 합니다. 확고한 기준 없이 그저 시간이 날때 시장에서 기회를 찾는 분들이 참 많죠? 그러다보니 자연스레 억지스런 거래를 하게 되기도 하고, 짧은구간에서 한모금 베어 먹으려나 손절 타이밍 놓쳐서 고민하다 투매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고요. 자신의 성향이 단기인지 스윙인지 여부를 …

Read more…

LG화학, 삼성SDI, SK이노베이션

2차전지 강세가 지속되고 있다. 55만 원대 박스권 돌파 이후 LG화학은 거침없이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개인적으로 조금 더 적극적으로 거래에 임하면 좋지 않았을까? 라는 뒤늦은 후회가 생긴다. 아쉽다. 당분간 이런 흐름은 지속 될까? 물론 2차전지 업종 강세는 시대적 흐름이다. 그러나 과한 면이 있지 않은가 싶다. 즉, …

Read more…

유한양행(000100) 방향성 전환.

유한양행의 강세가 이어지고 있다. 제약/바이오 강세 흐름이 코로나19 치료제에서 이제는 실적에 관심을 두고 있다. 물론 실적 또한 코로나19와 관련된 영역인 경우가 많다. 다만, 치료제에서 실적 이제 어떤 모멘텀으로 강세 흐름을 이어 갈지 사뭇 궁금하다. 나만 그렇게 느끼는 것인가? 오늘 장중 제약/바이오 종목들의 변동성을 관찰하였다. 순간적인 …

Read more…

주도주 리뷰 – 하나제약, 종근당, 종근당바이오, 카이노스메드, 유니셈

오늘 거래대금 상위 종목 중 당분간 눈 여겨 볼만한 종목들을 선별하였습니다. 오늘 일정이 바빠 제대로 리뷰를 하기에는 어렵네요. 일단 종목 11개를 선정 해 놨습니다. 당분간 이것 들 중에서 선별 과정을 거친 종목들을 집중하려 합니다. 순전히 차트와 거래대금만으로 선정하였습니다. 업종을 신경쓰지 않았는데 공교롭게도 제약/바이오에 집중되어 있네요. …

Read more…

2차전지 대장주 LG화학(051910)

2차전지 대장주 LG화학(051910) - 2차전지,LG화학,대장주

테슬라로 시작된 전기차 업종 상승세에 국내에서는 2차전지 관련주들의 강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과거 5~6월에 짧은 거래를 종종 했던 종목입니다. 이제보니 저는 정말 발바닥의 각질만 벗기고 있었네요. ㅎㅎ 현재 업종별 주도주들의 흐름이 매우 강합니다. 이것이 과연 과열권 상승인가? 라는 생각도 부담감 덕분에 들기도 합니다. 그러나 결국 현재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