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의 불행에 속으로 고소해 하는 심리는 어디서 비롯된 것일까 .
네덜란드 라이덴 대학 연구진은 심리학에서 `샤덴프로데'(Schadenfreude)라는 용어로 불리는 이런 감정이 우월한 상대에 대한 질투심을 누그러뜨리고 자기긍정을 강화하는 효과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미국 심리학회가 발간하는 `이모션’ 최신 호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여자 대학생 40명과 남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자신감을 평가한 뒤 누구 나 부러워할 자리에 취직할 가능성이 높은 이른바 `잘 나가는’ 대학생의 면접 기록 2건을 읽도록 했다.
이어 이 학생의 지도교수가 학생의 연구에서 큰 결함을 발견했다고 밝히는 다른 면접 내용이 소개된다.
그 다음 피실험자들에게는 자신의 `샤덴프로이데’가 어느 정도인지를 나타내는 다섯개의 표현 중 동의하는 것에 표시하라는 주문이 주어진다. 예를 들면 “그에게 일어난 일을 즐겼다” “속으로 웃음이 나는 것을 참을 수 없었다” 등이다.
실험 결과 자신감이 낮은 학생일수록 잘 나가는 학생에 더 위협을 느끼며 더 강 한 샤덴프로이데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신감의 정도를 불문하고 위협을 많이 느끼는 학생일수록 샤덴프로이데 를 더 느끼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진은 이어 피실험자의 절반에게 그들의 의견을 매우 중요하게 받아들인다는 인상을 주어 자신감을 북돋워 준 뒤 같은 면접 기록을 다시 읽도록 했다.
이 때 자신감이 낮은 학생들은 여전히 샤덴프로이데를 더 많이 느꼈고 여전히 성취도 높은 학생에게 위협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신감이 높아진 학생들은 질투 대상 학생의 실패에서 전보다는 고소함 을 덜 느끼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진은 “자신감이 낮을 때 사람들은 어떻게든 기분이 나아지려고 애쓰며 이때 남의 불행을 보면 샤덴프로이데를 느낀다. 이 연구에서는 사람들의 자신감이 높아지 면 굳이 남의 불행을 보고 기분이 좋아질 필요가 없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 혔다.
이들은 동료의 작은 실수에 고소함을 느끼는 것은 사람이면 누구나 평생 몇 차 례는 겪는 일이지만 연민이나 동정심 없이 남의 큰 불행에 깊은 만족을 느끼는 사람 도 있다고 지적했다.